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시집 (6)

노루삼

[새싹]

 


[잎]

 


[꽃봉오리]

 


[꽃]

 


[열매]

 

한국의 야생화 시집 (6) [그냥 꽃이면 된다]




노루삼


옛날,
천방지축 노루 한 마리
배고픈 겨울 눈밭에서 마른풀 찾아 헤매다
어찌어찌하여 산삼 한 뿌리 먹었답니다
추위 얼어 찬 몸
백년 묵은 산삼의 열이 뻗쳐올라
발광하다 허연 개거품 물고 죽었는데,
이듬해 봄
그 자리에 하얀 꽃이 피었답니다
세상은
빗방울 한 점 없는 오랜 가뭄 속에서
온통 검은 짐승들의 얼룩진 사나운 눈초리에 짓눌리며
피울음 우는 순한 나비들의 붉은 아우성
가득해도
온 세상
새하얀 웃음으로 환하게 다 받아주는,
온갖 먼지 쓸어담아 털어내고 날려주는 둥근 솔 털이개처럼
일상에서 지친 영혼
쓰리고 아픈 가슴
달콤하게 달래주는 솜사탕 같은
꽃이 피었답니다
어둔 숲속 화안히 비추고 있답니다

요즘 세상살이
가끔도 아니고 때때로
아무런 이유도 없이 봉변을 당할 때가 많아
참 많이 힘이 듭니다
억울하다고 소리치고 싶지만, 그래도
모두 내 탓이라 속으로 삭이며
눈부신 햇살 저편에 있는
어둔 숲속 노루삼을 찾아갑니다
산삼 먹은 노루가 죽어 피었다는
꽃을 찾아갑니다
눈맞춤 마주하고 앉아서 뜬금없이 한풀이 대신 퍼붓고 옵니다
그러고 나면 한결 속 시원해지지만
한이 많아 죽어서도 다시 꽃으로 핀
저것은
또 무슨 죄,
언제까지 이 짓만 되풀이해야 할까요?

점점 계절이 빨라집니다
차라리 내가 꽃이 될까요?





※ 노루삼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유독성 식물이다. 우리나라 각처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생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비대하다. 줄기는 곧게 선다. 밑부분에 비늘조각 같은 잎이 있고, 윗부분과 꽃차례에 잔털이 있다. 줄기에서 어긋나는 2~3개의 잎은 2~4회의 3출겹잎으로 잎자루가 길고 작은잎은 계란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결각상 또는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맥 위에 잔털이 있다. 5~6월에 흰색의 꽃이 피는데 수많은 자잘한 꽃들이 모여 둥근 솔의 모양 또는 솜사탕의 모양을 이룬다. 8월에 둥근 모양의 열매가 검은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녹두승마(綠豆升麻)」라 하여 뿌리줄기를 약재로 쓴다.






'야생화 시집 (6)'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靑梅  (0) 2014.05.28
白梅  (0) 2014.05.21
등대꽃  (0) 2014.05.11
섬노루귀  (0) 2014.05.10
아욱제비꽃  (0) 201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