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시집 (6)

도깨비바늘

[새싹]

 


[줄기와 잎]

 


[꽃]

 


[열매]

 

한국의 야생화 시집 (6) [그냥 꽃이면 된다]



도깨비바늘


이미 아플 대로 아픈 몸
얼마나 더 아파야 꽃이 피는가

길고 긴 지난겨울의 무서웠던 한파
기상이변으로 돌돌 떨었던 꽃샘추위의 봄
집중호우로 애를 태웠던 지리한 장마
날마다 뜬눈으로 지새우던 한여름의 폭염 열대야

끊임없이 달라붙고 찌르면서
그만큼 분풀이 토해냈으면 되었지

이 청명한 가을 하늘에서도
아린 가슴 또 찔러대는가

그래, 찔러라
맑은 햇살 아래
샛노란 꽃잎 서너 장 볼 수 있어
한 순간 화안히 웃을 수 있다면
얼마든지 뾰족한 바늘 찔려도 좋으리

그리하여 온몸 가득 상처를 껴안고
오는 겨울을 내내 아파하며 지내도 좋으리





※ 도깨비바늘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 각처의 황무지에 자생한다. 줄기는 네모지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는데 2회 깃꼴겹잎으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8~9월에 노란색의 꽃이 가지나 줄기 끝에서 두상화로 피는데 가운데의 관상화(冠狀花)는 바늘 모양이고 가장자리의 설상화(舌狀花)는 2~5장으로 타원형이다. 9~10월에 바늘 모양의 열매가 진갈색으로 익는데 사람의 옷이나 짐승의 털에 잘 달라붙어 퍼진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한방에서「귀침초(鬼針草)」라 하여 지상부(地上部)의 전초(全草)를 약재로 쓴다. 가장자리의 설상화(舌狀花)가 흰꽃으로 피는 것을「흰도깨비바늘」이라고 한다.





'야생화 시집 (6)'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늦가을에 피는 대나물을 보며  (0) 2013.11.08
흰도깨비바늘  (0) 2013.10.12
구실바위취  (0) 2013.09.15
풀명자꽃  (0) 2013.07.31
나도옥잠화  (0) 2013.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