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사화집 제목 : 천태산 하늘북
ㅇ 지은이 : 천태산 은행나무를 사랑하는 사람들
ㅇ 펴낸이 : 양문규
ㅇ 펴낸곳 : 詩와에세이
ㅇ 발행일 : 2021. 10. 1.
|차|례|
가걸랑 꽃 / 11
강대선 장독대 / 12
강문출 등불의 노래 ․ 2 / 13
강병철 그리움 / 14
강상기 천년 은행나무 옆에서 / 15
강세화 홀아비바람꽃 / 16
강신용 산책 / 17
강영은 소통(疏通)의 방향 / 18
강영환 꽃양귀비 / 19
강은희 노을 / 20
강혜지 갈바람 / 21
고경숙 우크라이나 / 22
고경연 첫눈 / 23
고안나 천태산 은행나무 / 24
공광규 물갈퀴 양말 공장 / 25
공정애 마량리 동백숲 / 26
곽 구 아지랑이 필 때 / 27
곽문연 속성 / 28
구재기 천태산 은행나무 / 29
구태연 은행나무를 보며 / 30
권미강 가을 숲 / 31
권용욱 쑥털털이 / 32
권위상 그들 / 33
권은중 통나무 의자 / 34
권재숙 민달팽이 / 35
권정희 별난 풀 이름들 / 36
기성서 만덕산(萬德山) / 37
김감우 주홍 / 38
김고니 가을의 소원 / 39
김관식 찔레꽃 / 40
김광련 바람이 전하는 말 / 41
김광이 아버지의 연못 / 42
김기화 천년 연서 / 43
김길전 대게 / 44
김나연 자연을 읽다 / 45
김남권 낮달 / 46
김노을 봄, 낙화 / 47
김다솜 아르케(arche) ․ 2 / 48
김도연 내 가문 손의 삽화(揷畵) / 49
김도향 줄장미 / 50
김동수 생일선물 / 51
김리영 상사화(相思花) / 52
김 명 하얀 보자기에 싸인 상자 / 53
김명은 전지 중입니다 / 54
김명철 눈도 없이 하늘을 날고 있는 매미 / 55
김미순 산홍시 / 57
김민지 바다가 울고 있다 / 58
김비주 잔대, 이제 보이네 / 59
김삼환 두엄 / 60
김상우 꽃 / 61
김석이 물의 내시경 / 62
김선태 별들의 야근 / 63
김성우 10월 / 64
김세영 안단테 칸타빌레 / 65
김순애 개 짖는 소리가 살아 있는 밤 / 66
김순옥 벼랑에 핀 꽃 / 67
김순진 해는 / 68
김승기 나비나물 날아오르다 / 69
김양경 항복 / 70
김 영 햇살 수제비 / 71
김영재 마음 / 72
김영천 죽(竹) / 73
김옥경 격포 / 74
김 완 각시투구꽃 / 75
김완하 내 몸에 그늘이 들다 / 76
김요아킴 개심(開心) / 77
김윤배 화사한 그늘 / 78
김윤한 우박 / 79
김윤환 동백 / 80
김은령 연애 / 81
김은아 가을은 / 82
김의상 어느새 / 83
김인호 반야여명(般若黎明) / 84
김일곤 어등역(魚登驛) / 85
김재수 가로수 / 86
김정례 소망 / 87
김정민 돌고 돌아 / 88
김정순 네 잎 클로버 / 89
김종원 이별 꽃 / 90
김주혜 우리가 숲이 되는 이유 / 91
김주희 숲속에 지휘자가 산다 / 92
김준태 충청도 영동산맥 / 93
김진엽 쌈 / 94
김충경 이사 / 95
김혜숙 다시 온 계절 / 96
김혜천 풍마(風馬) / 97
김홍숙 폐지의 꿈 / 98
김효선 월요일 / 99
김 휼 그늘나무 / 100
김희근 그대 마음이 머무는 곳 / 101
나건하 막대벌레처럼 / 102
나문석 박재삼 시인을 생각하며 / 103
나석중 풀꽃 / 104
나숙자 무게로 달 수 없다 / 105
나종영 나무 위의 집 / 106
나태주 외로움 / 107
나호열 내 속에는 나묵 살고 있다 / 108
남명숙 당신이 있는 그곳 / 109
남태식 몰골 / 110
노혜봉 산나리꽃 꿀점은 골똘히 / 111
도종환 왼손 / 112
류미야 그리운 오지(奧地) / 113
류미월 갈대, 바람을 스캔하다 / 114
류인수 홀씨로 날아 / 115
류중석 빈자리 / 116
마선숙 배추적이 바다 되었다 / 117
문설희 빈 화분의 감정 / 118
문예진 노을 카페 / 119
문정석 참새와 빗방울 / 120
문철수 저녁 / 121
문철호 부들꽃 / 122
문현숙 개기월식 / 123
민순혜 안녕, 피아노 / 124
박경조 가을의 결 / 125
박광수 여름꽃 / 126
박금리 가을걷이 / 127
박남주 아내의 도토리묵 / 128
박덕희 산벚나무에 은하수가 피었다 / 129
박득희 계단을 오르며 / 130
박명현 햇볕 발라먹기 / 131
박몽구 샴쌍둥이 향나무 / 132
박무원 어느새 / 134
박미경 이틀째 / 135
박미연 호박을 타다 / 136
박미화 은행나무 / 137
박부민 도라지 꽃밭 / 138
박상봉 서쪽에서 부는 바람 / 139
박상진 어쩌면 / 140
박소름 보라색 별 / 141
박수산 단풍 / 142
박식주 하루 / 143
박영애 엄마가 말했다 / 144
박원혜 움직임 / 145
박원희 천태산 은행나무 / 146
박윤자 가습기 / 147
박은정 홀씨 / 148
박인정 소머리국밥 / 149
박일만 벽과 담쟁이 / 150
박재숙 곤줄박이 편지 / 151
박진형 목류 / 152
박찬희 뱀의 꽃자리 / 153
박철영 떠나간 것들에 대하여 / 154
박희선 백운동에서 / 155
배명식 새벽안개 덮일 때 / 156
배윤진 거미 / 157
백성일 동반자 / 158
백순금 산보다 높은 곳에 / 159
백지은 매미가 운다 / 160
변창렬 소는 꽃을 아낀다 / 161
서범석 꾀 / 162
서창원 당신이 건네준 행복 / 163
섬 동 춤추는 숲에 와서 / 164
성낙수 꽁보리밥 / 165
성명남 페브리즈 잔혹사 / 166
성배순 배롱나무 / 167
성백술 강아지 / 168
성백원 제비꽃 / 169
성 희 물봉숭아 / 170
손인식 못을 박다 / 171
손준식 홍천강 소야곡 / 172
손현숙 야생이 돌아왔다 / 173
송시월 은행잎 한 장 / 174
송연우 기억의 은행나무 / 175
수 완 까마귀밥을 주다 / 176
신명금 가을 / 177
신순말 소리 없이 쓸쓸하게 / 178
신승희 세상 속 오만 길 / 179
신해식 매의 말 / 180
심수자 당산나무 / 181
심승혁 갈대를 듣다 / 182
안상용 투병 / 183
안옥이 흔적 / 184
안원찬 선(禪) / 185
안재덕 까치 부부 / 186
안현심 굴참나무 / 187
양 곡 점심 / 188
양문규 잔별같이 오는 은행나무 / 189
양선규 눈빛 / 190
양소은 산사나무의 자세 / 191
양효숙 사람책 / 192
엄태지 바람의 청동 물고기 / 193
염선행 자꾸 눈물이 나 / 194
염창권 하루 / 195
오봉수 꿈꾸는 자전거 / 196
오수야 매화, 봄을 기다리다 / 197
오하룡 통일 병 / 198
오형록 도솔암에서 / 199
우정연 자작나무 애인 / 200
유용식 물 한 모금 / 201
유재호 신록 / 202
유준화 붉은 오로라가 펼쳐지는 새벽 / 203
유희숙 나무 이야기 / 204
윤갑현 황금융단(黃金絨緞) / 205
윤상선 빈 화분의 감정 / 206
윤은진 능소화 숨어 피다 / 207
윤인경 섣달그믐 / 208
윤준경 숲에게 / 209
윤중목 득음(得音) / 210
이강하 소나기 / 211
이경주 침묵 / 212
이달균 밤 하나 떨어졌을 뿐인데 / 213
이동근 비가 쓰는 천수경 / 214
이동순 혼밥족 / 215
이 룬 민들레 / 216
이명희 은행나무 앞에서 / 217
이미령 바닷가 지붕 낮은 집 / 218
이범철 나무 / 219
이보숙 월든 호수 / 220
이복희 단물, 그 이후 / 221
이삼순 찔레꽃 / 222
이상은 꽃의 말을 듣다 / 223
이상인 은행나무의 손 편지 / 224
이상학 글뚝 / 225
이상현 하얀 봄비 / 226
이서은 모과 / 227
이선정 오십만 원 / 228
이 섬 존재에 대하여 / 229
이숙희(울산) 마가렛 / 230
이숙희(전주) 가을을 줍다 / 231
이순애 폭포처럼 / 232
이순주 단풍숲에서 / 233
이승용 빛 바라기 / 234
이승진 ? / 235
이애리 장수공깃돌바위 / 236
이애정 씨앗의 말 / 237
이연미 방명록 / 238
이연순 딱 그만큼 / 239
이연주 동백꽃 / 240
이영순 천태산 은행나무 / 241
이영자 나의 지하를 보는 순간 / 242
이영춘 가을 산사에서 / 244
이옥순 민초 / 245
이우디 그예 / 246
이원구 별빛으로 쓴 묘비명 / 247
이원규 천고(天鼓) / 248
이유준 거미줄 / 249
이은숙 그 길과 관계 맺고 있었던 것들 / 250
이 적 다시 옥창에 / 251
이정숙 고슴도치풀 / 252
이종숙 기다림 / 253
이주언 귀가 / 254
이주희 콩짜개덩굴아 / 255
이지유 바람새 / 256
이창우 푸른 꽃 / 257
이채윤 코로나19 / 258
이춘우 천태산 은행나무 / 259
이한배 들꽃 / 260
이현숙 언덕 위에 바람은 길을 열고 / 261
이현협 벌거벗은 화석 / 262
이혜자 망초 / 263
이화영 유독(幽獨) / 264
이화인 동자꽃 / 265
임경숙 민들레 빈집 / 266
임근수 미안하다 / 267
임덕기 하얀꽃 / 268
임미리 세량지 / 269
임소윤 부여, 서당골의 봄 / 270
임영석 어느 날은 나도 / 271
장민규 또 다른 나 / 272
장성수 풀잎 한 장 / 273
장세현 그래야 꽃 / 274
장웅상 갯버들 / 275
장윤태 전원일기 ․ 2 / 276
장이엽 우편번호는 명자나무 그늘 / 277
장지성 단지(斷指) / 278
전길자 나무에 기대어 ․ 1 / 279
전무용 온 산골짜기에 / 280
전선자 가을 천태산 / 281
전 숙 달빛 한 줄기 / 282
전인식 다시, 천태산 / 283
전장석 사직공원 / 284
정가일 어성초 / 285
정경남 시간을 듣는 귀 / 286
정관웅 노랗게 웃음 지어준 / 287
정대호 벼랑에 휘어진 소나무 / 288
정동수 바람을 기다리는 일 / 289
정리움 개망초 / 290
정문정 떼창 / 291
정바름 개굴 경(經) / 292
정삼조 어머니의 봄 / 293
정선희 개별꽃 / 294
정 숙 삶 / 295
정숙자 공우림(空友林)의 노래 ․ 5 / 296
정영주 간혹 그런 일이 있다 / 297
정원도 초승에서 그믐까지 / 298
정의숙 여름 나무 / 299
정이랑 밭둑의 호박같이 / 300
정이향 유학사에서 / 301
정일남 자연에 안겨 / 302
정지우 정원사를 바로 아세요 / 303
정택근 오타(誤打) / 304
정호정 DMZ, 우리 형제들 / 305
조경순 옥계폭포 / 306
조국성 넝쿨장미 / 307
조길성 우물 / 308
조동권 초주가(招酒歌) / 309
조동례 그냥이라는 말 / 310
조선이 절정 / 311
조성범 늙은 호박 / 312
조영애 엄마 품 / 313
조영행 꽃방 / 314
조원학 강가에서 / 315
조재도 근원적 질문 / 316
조정숙 물푸레나무 / 317
조충호 고독한 사랑 / 318
조평자 피신 / 319
주리애 그리움 / 320
주석희 은행을 줍다 / 321
주선미 느티나무 / 322
주해봉 가을 / 323
진영대 오동나무 / 324
차옥혜 초록빛 / 325
차용국 풍경(風磬) / 326
차행득 난산(難産) / 327
채영조 가버린 사랑 / 328
천선기 그 무엇 / 329
천유근 풍로초 / 330
천융희 띠밭늘 / 331
최경화 어느 가을날 / 332
최서림 동강아리랑 / 333
최성규 가을은 / 334
최성문 홍가시나무 / 335
최 영 나무 가족 / 336
최우서 순응 / 337
최일화 낯익은 풍속도 / 338
최재경 저요, 저요 / 339
최춘희 조문 / 340
최형심 물 위의 잠 / 341
하 송 나무 / 342
하재청 달빛 여인숙 / 343
한도훈 수크령이 맞이하는 가을 / 344
한만수 바람의 전설 / 345
한상호 야생화 / 346
한선미 달 / 347
한영채 운흥사지 종탑 / 348
한이나 물속 한 세상 / 349
한종훈 닳다 / 350
한효정 나무가 되어줄게 / 351
함창석 천태시목(天台詩木) / 352
허남기 산사의 풍경 소리 / 353
허 석 고목이 된다는 것 / 354
허창주 사랑의 마음 / 355
허형만 산까치 / 356
현상연 가지치기 / 357
홍정임 하양 아니면 안 보이는 / 358
홍하표 허밍 코러스(Humming Chorus) / 359
황구하 흰 고무신 / 360
황미경 생존의 기술 / 361
황선복 천년의 노래 / 362
황성용 인간 나무 / 363
황우정 마장호수 출렁다리 / 364
황은미 내 마음속에 너랑 / 365
황지형 탱자 / 366
'동인지, 사화집 목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에트리가 선정한 올해의 좋은 詩 2022 (0) | 2022.07.15 |
---|---|
2021년 한국시인협회 사화집 [역(驛)] (0) | 2022.01.02 |
코로나 특집 2021 한국시인협회 특별 사화집 [포스트코로나] (0) | 2021.07.12 |
2020년 한국시인협회 사화집 [꽃] (0) | 2020.12.30 |
천태산 은행나무를 사랑하는 사람들 사화집 [하늘 같은 나무] (0) | 2020.12.08 |